접근성 좋아도 눈에 안 띄는 곳은 NO,NO
아무리 지하철 역과 가깝더라도 가시성이 좋지 않으면 일단 투자대상에서 제외 하는게 좋다.
공급업체들은 지하철 통로와 연결되어 유동인구가 많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강남역, 양재역 등과 연계된 상가중에도 잘 눈에 띄지않아 1년넘게 공실로 남아있는곳이 많다.
이름만 바꾼 상가는 의심
분양이 안되어 이름만 바꾸고 재분양하는 이른바 `개명상가`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이름이 바뀐다고 해서 당초 상가가 갖고 있던 취약점이 사라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상가 구성 컨셉트만 조금 바꾸고 분양에 나서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경계대상이다.
인근 중개업소를 통해 상권 적은가능성 및 개발업체 신용도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골목상가는 무늬만 역세권
보행동선이 단절된 골목상가에 대규모 인구가 유입될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힘들다.
유동인구의 주요 동선에서 벗어나 좁은 뒷길 통로를 거쳐 접근 할수 있게 만들어진 상가는 특별한 집객시설이 없다면 상가 활성화가 어렵다고 봐야한다.
점포 과다배치 여부도 체크
상가의 공급과잉은 상권 내에서만 따질 일이 아니다.
한 상가 안에서도 점포 과잉으로 임대수요를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부 주상복합 상가나 테마상가, 아파트형 공장 상가 등에서 그런 사례가 많다.
투자 대상 상가의 입점 점포 수 점검은 필수 사항이다.
기존 상권 흡입 가능성
대부분 역세권에는 한반, 의류 등 해당지역 내 전통적인 강세업종과 연계된(테마)상가들이 많지만 눈 에띄게 성공을 거둔 상가는 흔치 않다.
이들 상가는 기존 상권 상인들이 신축상가로 얼마나 이동하느냐를 잘 살펴보고 투자에 나서는게 좋다.
|